웃는 기와 - 이봉직 옛 신라 사람들은 웃는 기와로 집을 짓고 웃는 집에서 살았나 봅니다 기와 하나가 처마 밑으로 떨어져 얼굴 한 쪽이 금 가고 깨졌지만 웃음은 깨지지 않고 나뭇잎 뒤에 숨은 초승달처럼 웃고 있습니다 나도 누군가에게 한 번 웃어 주면 천 년을 가는 그런 웃음을 남기고 싶어 웃는 기와 흉내를 내 봅니다 일제 강점기였던 1932년 경주 영묘사 터에서 여인의 얼굴이 새겨져 있는 깨진 수막새 한 점이 발견되었다 이 수막새는 골동품상을 거쳐 공중의로 근무하던 일본 청년의 손에 들어갔고, 이 청년을 따라 일본으로 갔다 1964년 국립박물관 경주분관장이던 박일훈은 30여년전 조선총독부 기관지에 소개되었던 이 수막새의 소재를 추적한 결과, 조선에서 공중의로 근무하던 일본 청년이 아직도 소중하게 잘 간직..